최근 대형 언어 모델 (LLM)인 ChatGPT의 발전은 기술 산업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큰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모델들은 콘텐츠 생성에 대해 놀라운 성능을 보이지만, 편견과 환상과 같은 단점도 가지고 있기 마련이죠 🥲
그러나! LLMs가 특히 챗봇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분야가 있습니다.
#지능형 기반 챗봇!
기존의 챗봇은 일반적으로 의도(intent) 기반으로 작동해왔습니다!
이는 특정 사용자 의도에 대해 응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각 의도는 일련의 샘플 질문과 관련된 응답으로 구성되어 있죠.
예를 들어, "날씨" 의도는 "오늘 날씨는 어떻게 되나요?" 또는 "오늘 비가 올까요?"와 같은 샘플 질문과 "오늘은 맑겠습니다."와 같은 응답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사용자가 질문을 하면, 챗봇은 가장 유사한 샘플 질문을 가진 의도를 찾아 해당 응답을 반환합니다.
하지만, 의도(intent) 기반 챗봇은 자체적인 문제점이 있습니다! 하나의 문제는 구체적인 대답을 제공하기 위해서 많은 수의 의도가 필요한 것이죠!
예를 들어, "로그인이 안 돼", "비밀번호를 잊어버렸어", "로그인 오류"와 같은 사용자 발화는 매우 유사하지만, 서로 다른 대답이 필요하여 세 가지 다른 의도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