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f-consistency. 즉, 자기 일관성이란 CoT의 후속으로, 하나가 아닌 여러 개의 chain of thought를 생성하고, 다수결을 따라 최종 답변을 도출하는 방법입니다!
조금 생소한 단어지만, 저와 같이 함께 알아보도록 할까요? 🤠
#자기 일관성(Self Consistency)
아래 그림을 잘 보세요! 왼쪽의 프롬프트는 Few-Shot-CoT 패러다임을 사용하여 작성된 것입니다.
하나의 프롬프트를 사용하여 여러 개의 생각 사슬이 독립적으로 생성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각각에서 답을 추출하고 "추론 경로를 한계화"하여 최종 답을 계산합니다.
실제로 이것은 다수의 답을 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Example
소프트웨어 회사에서 하루에 수백 개의 이메일을 받는 상황을 가정해볼까요?
방대한 양의 이메일을 중요한 것과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분류해 모델을 사용하고 싶다는 생각.. 모두가 하고 계실거란 생각이 드네요 🥲
중요 유무에 따라 정리해두면 비즈니스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이메일에 우선 순위를 두어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기 때문이죠!